(논문작성-논문작성) “논문작성능력” 읽기 및 학습포인트 검토


1. 도서 정보

– 저자 : 우에노 치즈코

– 한주희 옮김

2. 목차

1부 정보 생산의 예비 단계

1장 정보란 무엇인가?

2장 연구 질문 설정하기

2부: 해도로 사용할 계획 세우기

제3장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4장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제5장 연구계획서 작성(당 연구편)

Part Ⅲ 이론과 방법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다름

6장 방법론이란 무엇인가?

7장: 개체 및 메서드 선택

4부 정보 수집 및 분석

8장 질적 정보란 무엇인가?

9장 면접이란?

Chapter 10 정성적 정보분석이란?

11장 KJ법 개발

파트 V의 에디션

제12장 목차를 작성하라

제13장 논문 쓰기

14장 비판의 함양

제15장 논문작성과정

6부 독자와의 소통을 위한 글쓰기

제16장 구두보고

17장 메시지 전달

18장 생산자가 되어라

3. 언급할 가치가 있는 것

– 저자는 인문학자로서 논문을 어떻게 작성하고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지 배울 가치가 있지만 그 방법론은 실증적 분석이 필요한 경제/경영 업무와는 다르다.

– 다만, 채권시장의 경향은 설문지나 시장참가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함.

– 연구문제를 정할 때 논문의 주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B. 답변으로 이어질 수 있는 축소된 질문을 합니다.

– 문헌연구 동의서

1과목
2번째 골
세 번째 방법
4. 타당성 / 조사 결과 / 검토의 중요성 및 영향
5. 방법의 한계와 문제점
6. 기타 의견

– 연구계획서 양식

1. 연구대상
2. 연구 내용
3. 이론 및 작업 가설
4. 연구대상
5. 연구방법
6. 선해 연구 및 관련 자료
7. 연구기관, 연구비
8. 연구계획서
9. 본 연구의 중요성
10. 본 연구의 한계

– 연구 계획서 작성(당사자의 연구 버전)

1. (주제) 이 연구를 어떻게 정의하셨나요?
2. (연구동기/획득목표) 본 연구를 수행하는 이유와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3. (포지셔닝) 연구원으로서의 포지션
4. (예비조사) 고소 대상은 누구인가?
5. (이론적 틀) 채택된 접근법
6. (연구 목표) 목표는 무엇입니까?
7. (조사방법) 데이터 수집은 어떻게 하나요?
8. (관련성) 본 연구의 의의는 무엇인가?
9. (제한점) 본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10. (연구비) 이 연구의 비용은 얼마입니까?
11. (연구 일정) 이 연구는 얼마나 걸립니까?

– 논문의 순서는 어떻게 정리하는가

1장 문제 구성
제2장 목표
3장 방법
제4장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5장 이론적 틀 정의
제6장 분석 및 고찰(본론)
제7장 결론
제8장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과제와 관점)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