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이 부동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다면 제가 정리한 기사를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Chapter 2. 부동산 투자를 따내는 방법
챕터 2를 읽으면서 키포인트라고 느꼈던 부분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수익을 내고 싶다면 인플레이션을 조심하라
seungworld.tistory.com
통화량 확인 방법
1. 인터넷 주소창에서 ecos.bok.or.kr 여기를 클릭하여 직접 입력하거나 검색창에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을 검색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상단의 통계검색 탭을 클릭하여 입력합니다.
3. ‘1. “Currency.Finance” 클릭, “1.1 통화/유동성” 클릭, “1.1.2.M1(계약 통화)” 클릭, “제품별 구성” 클릭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품별 M1 구성 상세(에버리지 밸런스, 오리지널 시리즈)’선택하다
4. Account 항목에서 M1(Average Balance, Won Streak) 체크 후 하단의 “Add to List”를 클릭하면 우측의 “조회할 통계 목록”에 추가됩니다.
5. 위와 같은 순서로 조회할 통계 목록에 M2 통계(average, one range)도 추가한다.
6. M1과 M2를 모두 추가한 후 오른쪽 하단의 “선택 목록 찾아보기”를 클릭합니다.
7. 원하는 데이터로 표나 그래프를 볼 수 있지만 M1/M2 값을 확인하려면 표에서 “데이터 가져오기”를 클릭하여 EXCEL(일반 형식) 파일로 가져옵니다.
(M1/M2 값의 의미는 실제 기사에서 위에 링크된 기사를 참조하십시오.)
8. Excel 파일을 열고 4번째 행의 “M1 값/M2 값”을 계산합니다.
9. 최신 날짜까지 자동 채우기
10. 처리된 데이터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차트를 생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