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리 다시 할게요.
상담을 해보면 수많은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공통되는 질문은 이런 것입니다.
✔지 주식시장이 나빠서 수익률이 너무 떨어졌어요.✔ᅡ が 사정이 나빠서 1~20만원을 납입하는데, 모아도 별로 돈이 되지 않습니다.
✔ᅵ 이것도 비과세 아닌가요?✔건강보험료도 내야 한다구요?궁금했던 내용이 맞나요?
세액공제 연금저축펀드의 애물단지로 전락 중
요즘 연금저축펀드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고민이 많으실 거예요.
코로나로 인해 장기 경기침체가 되고 있고, 미국발 금리인상으로 이어지는 주식시장 불황을 겪고 있어 펀드 수익률이 엉망입니다.
고민할 수밖에 없겠죠.
금감원 통합연금포털에서 조회한 자료입니다.
조회일은 2022년 9월 기준입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좀 좋은 게 -15.82%고 나쁜 건 -32.29%로 두 배 정도 차이가 나네요.
그러니까 고민이시죠?
보험사는 좀 다른가요?연금저축펀드와 달리 연금저축보험은 원금손실이 날 위험이 없습니다.
그래도 생각보다 수익률이 좋은 건 아니에요.
공시이율로 입금된 수익률이 3%도 안 된다는 사실입니다.
보험도 기대했는데 별로 좋지는 않네요.
세액공제 연금저축펀드 본연의 목적은 무엇일까.
연금저축은 노후에 연금으로 쓰려고 가입하는 것이 본래 목적입니다.
게다가 세금에 대한 혜택이 있어서 유리한 점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우선 매년 받을 수 있는 혜택으로 세액공제가 있습니다.
연간 400만원 한도로 소득 구간별 13.2%~16.5%로 세액공제를 받습니다.
연말정산 시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이 40만원~66만원 정도로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내년에는 전연령 600만원(연금저축만) 한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IRP포함 900만원까지
또 다른 혜택은 절세 효과입니다.
과세 이연의 효과와 연금으로 수령 시 5.5%와 저율 과세한다는 점. 그리고 분리과세 혜택까지 있습니다.
세액공제 연금저축펀드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세제혜택을 잘 활용하면 좋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질적인 기대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연말정산을 받으면 무엇을 합니까? 미래를 위해 재투자하시는 분들은 100명 중 1~2명 정도 수준입니다.
거의 다 소비하게 됩니다.
✔ᄀ액 がᄋ 금액이 크지 않아 세금 관련 혜택을 실질적으로 느끼기에는 애매한 수준입니다.
✔«소액이라면 종합소득세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ᅦ 심지어 사적연금으로 분류돼 이 소득에 대해 건강보험료까지 부과한다면?
연말정산 때 따로 공제 항목이 없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런 분들에게는 연금 저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 연금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는 분들에게도 세금을 줄이는 이런 제도는 잘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대부분의 직장인, 자영업자분들께 연금 준비에는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우선순위를 생각해야 한다는 거죠.
노후준비를 위해서는 세제혜택은 없지만 이자소득에 대해 과세하지 않고 건강보험료 소득에도 제외되는 비과세연금을 우선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세액공제를 준비해도 늦지 않습니다.
아직 비과세 한도도 채우지 않았는데 세액공제를 하는 것은 순서가 맞지 않는다
2017년 4월부터 개인별로 일시납 1억원, 월납 150만원의 비과세 한도가 주어지고 있습니다.
이 한도를 아직 채우지 못했다면 이 부분부터 채우고 나서 추가적인 여유가 있다면 연금저축을 하셔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세액공제, 연금저축펀드의 대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