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자 조선 의 선어록’

꿈에서 깨달음을 소개한 조선시대 에세이

김대현을 쓰고, 박성덕 옮김 ‘불교를 사랑한 조선 유학자 선어록’

▲ 운주사 | 1만2000원

조선 후기 유학자인 월창 김태현의 수필 『술몽쇄언』을 번역한 책이다.월창 김태현은 유학자이면서 불교에 심취하여 40세에 《능엄경》을 접하고 불교에 귀의하여 죽을 때까지 오로지 불교 공부와 수행에만 몰두하였다.

평생 수많은 저서를 남겼지만 죽기 직전 모두 불태워 버려 현재 『술몽쇄언』과 『선학입문』이 전한다. 『선학 입문』은 천태학의 교리와 수행 체계를 명쾌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저술로 그의 불교에 대한 이해 수준과 깊이가 얼마나 뛰어났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은 《술몽쇄언》을 완전히 번역한 것으로 사람이라면 누구나 꾸는 꿈을 통해 불교의 정수인 깨달음을 말한다.

김태현이 꿈을 선택한 동기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조선시대는 불교가 억압되고 유교가 숭앙되던 시기여서 불교 포교와 중생 계몽을 드러내 실천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꿈을 통한 우회적인 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불교를 드러내지 않고 오로지 꿈이라는 소재만으로 불교의 진수를 말하고 불교의 깨달음인 견성을 위한 수행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슈인 삶과 죽음에 대한 문제, 고통과 슬픔, 그리고 기쁨과 즐거움으로 엮인 중생의 삶에 대한 본질, 사람들의 욕망과 어리석음은 물론 지식인의 가치관에 대한 한계와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불교의 깨달음의 입장에서 이 모든 것의 본질은 자체의 특별한 별도의 성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저 꿈이자 하늘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에 유명한 장자의 나비 이야기가 등장한다. 이 때문에 《술몽쇄언》이 도가의 저서라고 주장하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술몽쇄언은 하늘과 무차별을 말하는 데 그치지 않고 바람의 사상을 비판하면서 결국은 고등어 세계라는 꿈에서 완전히 깨어나는 것이 핵심인데 이는 불교의 깨달음인 견성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범부의 삶의 지향점으로 견성을 제시하면서 견성의 실현을 위해 수행을 촉구하는 것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즉 『술몽쇄언』에는 유학과 도가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유불도 삼교합일사상을 표방하고 있는 것 같은데, 그 핵심논지와 주제는 모두 꿈을 비유로 불교의 공사상으로 귀결시키고 있는 불교서적이다.

번역을 한 박성덕(법오 스님)은 기존에 《술몽쇄언》에 대한 번역서가 있지만 정확하고 제대로 된 것이 부족하다고 판단, 불교학 박사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직접 원문과 대조하여 꼼꼼하게 번역함으로써 원문에 충실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탄생시켰다.

혜공스님 세계불교 초대 교황 일부성경보정법보존회 교황청 1부문 중회 미효례불교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