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을 비롯한 여러 집안일과 관련된 일이 생겨 행정적인 처리를 해야 하는 상태에서는 혼인관계증명서 인터넷 발급을 하고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주민센터에 가서 진행해도 되지만 귀찮은 부분이 꽤 있기 때문에 쉽게 온라인으로 바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정부가 운영하는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 접속하면 바로 혼인관계증명서 인터넷 발급이 가능합니다.
메인 화면을 보시면 신고서 작성과 제적부에 대한 아이콘이 있는데 맨 왼쪽에 있는 것을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본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름을 적어주셔야 하고 그 다음에는 주민번호를 기입하셔야 합니다.
내 가족에 대한 추가 정보를 더 기입해야 합니다.
부모 또는 어머니가 아니면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정보를 기재해야 합니다.
한 사람에 대한 이름을 입력하는 것으로 끝납니다.
본인의 공인인증 또는 금융인증서에 따라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신원확인을 위한 것이므로 필수불가결합니다.
그러면 화면이 바뀌고 혼인관계증명서의 인터넷 발급을 위한 신청 내용을 확인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화면을 보시면 서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필요한 것을 고르십시오. 주민등록번호 표시 여부를 선택하시고 신청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혼인관계증명서의 인터넷 발급 과정을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신청하시는 분 입장에서 한 가지 의문이 드는 것이 있는데 옵션 중에 기본과 세부 사항이 있는데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혼인관계증명서를 인터넷으로 발급받으면 본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광 배우자에 대한 현재 상태를 정리하여 출력해 줍니다.
과거에 일어난 일에 대해서는 일체 양식에 보이지 않는다고 이해해 주세요. 하지만 혼인관계증명서를 상세하게 하면 상당히 큰 차이가 생깁니다.
배우자가 과거 혼례를 했는지 여부를 비롯해 과거 배필과 결별한 이력이 있으면 모두 텍스트로 표시됩니다.
예전에 있던 것까지 모두 정리되어 표시되는 구조입니다.
보다 상세하게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세하게 출력해 주셔야 합니다.
이러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부 관공서나 기관측에서는 기본이 아닌 상세하게 양식을 준비하여 제출해 주시길 바랍니다.
사이트에 들어가서 서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화면을 보면 옵션 선택란이 있는데 기본과 세부 둘 중에 하나를 고르시면 됩니다.
서류를 받는 상대방이 원하는 방향으로 하지 않으면 번거롭게 다시 혼인관계증명서 인터넷 발급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도 생기기 때문에 가장 먼저 정확하게 선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