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급 사회복지사 자격증) 행동이론,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1급 사회복지사 자격증

행동주의 이론

“전통적 행동주의”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 이론’


전통적인 행동주의

파블로프

자극 및 고전적 조건형성(반응적 조건형성/고전적 조건형성), 중립자극, 일차유발자극, 조건자극, 조건반응, 수동적(자동/비자발적) 반응, 종소리에 대한 침술

왓슨

두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공포 조건화와 탈조건화(deconditioning)

손다이크

도구적 조건화(instrumental conditioning), 작용법칙(행위의 결과)

스키너

행동 결과와 조작적 조건화(조작적 조건화 → 자발적/능동적 반응), ABC 패러다임, 강화와 처벌(보상과 처벌), 외부 강화, 기계론적 환경 결정론, 강화 일정, 행동 형성(점진적 접근), 땋은 머리 자극, 차별 강화, 등.

ABC 패러다임

역사 → 행동 따르다


조작적 조건화

강화와 처벌(행동의 결과), 능동적(자발적 반응), 차별적 자극, 차별적 강화, 행동 형성(점진적 접근), 미신적 행동(무작위 조건화)

강화와 처벌(보상과 처벌)

강화(긍정적/부정적) → (바람직한) 행동의 재현성 증가

처벌(긍정적/부정적)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재현성 감소

보강 계획

지속적인 (지속적인) 철근 계획

간헐적 강화 일정

– 고정간격 강화계획(시간과 기간의 간격)

– 가변(variable/variable) 구간 강화 방안

– 고정 비율 강화 일정(응답 수 = 비율)

– 변동(변동/가변) 비율 강화 예정

행동 요법

이완훈련, 체계적 추리, 토큰경제, 자기주장훈련, 타임아웃(격리), 과잉교정, 반응비용, 회피기법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관찰과 모방, 인지, 상호결정론, 자기강화, 대리강화, 대리조건형성, 자기효능감(self-efficacy/self-efficacy), 자기조절(self-regulation, 공격성의 사회화, 관찰학습)

자기 강화

자기강화 → 자기보상(강화) 또는 자기처벌의 개념

자기 효율

자기효능감(self-efficacy) →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내적 기준과 자기 강화에 의해 형성됨)

자율규제

자기 조절 → 자신의 행동에 대한 자기 통제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자부심(주로 자기 강화를 통해 매개됨)

관찰 학습

① 주의 과정(주의 수준) – 관찰

② 보존과정(보존과정/유지단계) – 기억

③ 무브먼트 재생과정(생산과정) – 행위

④ 동기부여 과정(동기화 단계) – 강화(외적 강화, 자기 강화, 대리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