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에코마일리지 : 미세먼지 계절관리제(ft. 승용차 자동차 마일리지)

오늘은 서울시에서 실시하는 에코마일리지 프로그램&서울시 승용차마일리지에 대해 투고하고자 합니다.
에너지를 절약하면 마일리지도 적립해주는 쉬운 제도인 것 같다.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인센티브는 얼마야?

가장 관심 있는 에코마일리지가 얼마인지 보자.관리대상 에너지(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중 2가지 이상을 선택한 뒤 기준일 대비 얼마나 절감했는지 계산해 최대 5만원 상당의 인센티브를 준다.
가입한 달인 다음달부터 6개월 단위로 직전 2년간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해 15% 이상 절감하면 5만 마일리지를 지급하므로 에너지도 아끼고 돈도 벌어 일석이조가 아닐 수 없다.
서울시 미세먼지 특별 포인트는 얼마야?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12월~3월) 중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등 직전 2년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20% 이상 절약할 경우 1만원 상당의 마일리지를 특별 포인트로 지급한다고 한다.
미세먼지가 많은 12월~3월 사이 조금만 신경을 쓰고 에너지를 절약하면 추가로 1만원도 더 받을 수 있어 상당히 알찬 것 같다.
서울시 자동차 마일리지는 얼마야?

서울시 자동차 마일리지는 시민 스스로 자율적으로 운행거리를 줄여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에 기여하면 서울시로부터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다.

‘서울시 승용차 마일리지’ 홈페이지에서 주행거리 등 회원가입을 하고 1년 후 주행거리 자료를 제출하면 운행거리가 줄어든 만큼 마일리지를 지급하지만, 3천Km 이상 감축 시 최대 7만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자동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는 얼마야?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뿐 아니라 미세먼지 계절관리제(12월~3월) 기간 중 자동차 운행도 줄이면 특별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4개월간 1960㎞ 이하로 운행하면 10,000원 상당의 포인트를 지급하는데 아쉽게도 올해는 등록기간이 지나 참여하기 어렵지만 매년 시행한다고 하니 승용차 미세먼지 특별포인트는 내년에 노리기로 하자. 에코마일리지사용방법

서울시 에코마일리지도 자동차마일리지도 사용방법은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에코마일리지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① 가장 귀중한 기부다.
내가 절약한 만큼 포인트를 받아 기부를 하면 그 의미가 남다르다고 생각하고 소득공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고 한다.

② 현금 전환 및 지방세 납부가 가능하다는 점은 매우 실용적인 것으로 보인다.

③ 친환경제품 구매&카드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며,

④ 아파트 관리비 납부도 가능하다.

끝맺음지구환경도 살리고 돈도 벌 수 있는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제도는 서울시민이라면 가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어 보인다.
검색창에 ‘서울시 에코마일리지’라고 치면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되니 회원가입하고 마일리지도 적립하자. 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