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백신 접종 완료자가 현재 81.3%다.
그만큼 많은 분들이 백신 접종을 완료했고 백신 인증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에서 많이 쓰이는 QR 체크인은 네이버와 카카오톡이다.
그중 오늘 포스팅에서는 카카오톡 백신 인증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아래 사진을 보면 필자는 백신을 10월에 2차까지 맞았지만 미접종으로 표기돼 있다.
아마 이와 같이 큐얼코드에 표시되어 있는 분이 많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먼저 카카오톡 QR 체크인 방법을 모르는 분들을 위해 차근차근 살펴본다.
카카오톡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메인 화면이 나타날 것이다.
필자는 다크모드를 사용해 화면이 일반적인 화이트가 아닌 블랙으로 보이지만 사용법은 동일하다.
화살표 표시 점을 클릭해 준다.
‘더 보기’ 탭에 들어온 모습이다 그리고 인증서 옆에 QR체크인 문구가 보인다.
클릭을 해준다.
혹시 필자 같은 화면 디스플레이가 안 되는 분이 있을 텐데 이럴 때는 카카오 지갑을 먼저 활성화하면 된다.
큐얼 체크인에 들어온 모습이다.
역시 미접종 상태다.
그리고 자세히 조사해 보면, 접종 정보를 불러오는 탭이 보인다.
그렇다.
카카오톡 백신 인증 방법을 위해서는, 이하의 스위치를 누르면 된다.
전자예방접종증명서 발급 동의가 나며 모두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 사진처럼 ‘인증서 발급 시작하시겠습니까?’ 알림창이 뜬다.
확인 버튼을 눌러준다.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본인인증이 필요하다.
이름,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핸드폰 번호 정보를 입력하면 인증 완료를 해준다.
마지막으로 카카오 지갑 활성화 시 설정한 6자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오른쪽 사진처럼 인증서 발급이 완료되었다는 알림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위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C oov로부터 접종 정보를 카카오톡으로 불러 오게 된다.
글자를 자세히 보시면 [QRXCOOV로 출입 및 접종 인증을 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지갑에서 접종 정보도 확인하세요. 접종 정보는 2차 완료(얀센은 1차)까지 확인 가능하며 추가접종은 제공하지 않습니다’라고 적혀 있다.
이렇게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으니 실제로 확인해본다.
위의 방법으로 진행하면 1차와 2차 백신접종 완료일자와 백신업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오늘은 이렇게 카카오톡톡틴 인증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단, 코로나19 예방접종 정보를 자세히 살펴보면 ‘본 접종정보는 예방접종증명서의 효력을 인정받지 못합니다’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으나, 말 그대로 효력이 있는 인증서는 별도 서비스인 Coov에서 발급 가능하다.
이에 대한 정보는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요즘 뉴스를 시청하면 백신 2차 접종자가 모임의 사람들 중에 존재하면 몇 명 이상 집합이 가능하다고 해서 코…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