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변경된 국민연금 상하한도 적용 급여관리 프로그램(국민연금 요율, 4대 보험료율, 월급소득세)

2021년 7월 1일.

국민연금 기준 소득월액 상, 하한액이 변경되었습니다.

기존보다 4.1% 인상되었는데요.

간단하게 겉으로 정리해봤습니다.
구분 2020년 → 2021년 기준 소득월액 상한액 503만원 → 524만원(+21만원) 하한액 32만원 33만원(+47만1,600원) 국민연금 보험료 최고 2,700원 → 1만8,900원(+1만원) 최저 8,800원~9,700원(+900원) 변경되는 기준소득월액에 따름

보험료 변동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상한액 하한액 기준 소득월액 503만원 이상 524만원 미만 524만원 이상 32만원 이하 32만원 초과 33만원 미만 보험료 인상분 최대 18,900원 900원 최대 900원 예상대상자 수(2020년 12월 자료기준) 25만명 220만명 9.9만명 1.2만명 이렇게 변경되는 국민연금 상하한도액.

해당 내용을 즉시 반영했다

급여 관리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요율 설정에 따라 변경되는 정책을

직접 변경할 수도 있는 급여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우선 사원 정보를 등록해 줍니다.

이때 기본급과 각 공제사항에 대한

공제, 감면 사항을 설정해 줍니다.

국민연금 기준 소득월액 건강보험 보수월액 고용보험 월평균 보수액

이 세 가지는

특별히 다른 기준으로 계산하는 회사에 한해 입력해 줍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계산됩니다.

급여 내역에서 급여 사항을 입력합니다.

기본급과 공제사항은

아까 사원정보에서 입력했기 때문에,

추가 결제 내역만 입력합니다.

입력사항은

급여 내역 관리 시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급여 관리에 필수적인 것이

급여 명세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급여 명세서를 쉽게 발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하나하나 따로 저장해서 각 직원에게 보내는 것은

쉽지 않아요.

그러나 이 급여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간단해집니다.

이메일 전송 기능이 있어서요.

리본 메뉴에 추가한 기능으로

급여 명세서에 메일 전송 기능이 있습니다.

직원을 선택하고 바로 메일 발송 버튼을 누르면

먼저 사원정보에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해당 직원의 급여명세서만 바로 발송됩니다.

물론 송신하기 위한 본인의 이메일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되도록 급여 관리자 한명만 사용하는게 좋겠죠?이러한 뛰어난 기능을 갖춘 엑셀 프로그램

급여 관리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엑셀공작소] 비즈니스에 유용한 엑셀 프로그램,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 서식 1위 예스폼 엑셀공작소입니다.
smartstore.naver.com

덧붙여 수기로 사용할 수 있는

급여대장 양식 2개를 첨부합니다.

하나는 일반적인 경우에 사용하는 급여대장이며,

또 하나는 호봉제로 사용할 수 있는 급여대장입니다.
한글/워드/엑셀 파일로 구성하여 압축하였습니다.

그러나 압축 파일에는 암호가 걸려 있습니다.

아래 링크의 상품을 ‘즐겨찾기’ 하신 후 [엑셀공작소] 비즈니스에 유용한 엑셀 프로그램,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 서식 1위 예스폼 엑셀공작소입니다.
smartstore.naver.com

↑ 여기 파란색 사각 보이시죠? 이것을 클릭해 주세요.

상품을 골라주신 후에

이 포스팅에 비밀글로 뽑았다고 남겨주시면

답변으로 압축파일 비밀번호 알려드릴게요~